사회초년생용 필수 비과세 상품 소개
- 국내주식의 모든 것/필수 비과세 상품
- 2021. 4. 7.
사회초년생 필수 비과세 상품 3가지
각각의 상품은 아래 개별 링크를 읽으시면 더 잘 이해되실 겁니다.
1. 비과세 3종 상품의 특징과 차이
2. 미장 직투의 우선순위, 어떻게 할 것인가?
3. 어쨌든 비과세는 잘 뽑아먹자
1. 비과세 3종 상품의 차이
정말 디테일한 분석은 각각 3개의 글로 작성해두었으니, 이번 글은 간단한 비교 분석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.
연금저축계좌 | IRP | ISA | |
의무가입기간 | 5년이상 / 만55세이후 수령 | 3년 | |
비과세 | 세액공제 2개 합 연 700만원 | 만기시 200만원 / 400만원 | |
최대납입한도 | 총합 연 1800만원 | 연 2000만원 / 5년 1억 | |
구매가능종목 | 국내상장 아무거나 (ETF) | 안전자산 최소 30% | 국내상장 아무거나 (ETF) |
세금 혜택 | 만 55세이후 월 100만원 수령 시 5.5% | 비과세 구간 이후 9.9% |
3개를 표에 억지로 우겨넣으려니 조금 생략되는 부분이 많네요.
쉽게쉽게 요약하자면,
연금저축계좌와 IRP는 겹치는 포지션이 꽤 많고, ISA는 좀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겁니다.
연금저축계좌는 만 55세이후를 바라보고 굴리는 계좌라면 ISA는 그것보다는 좀더 중단기를 바라보고 굴리는 절세계좌라는 겁니다.
가장 이상적인 구조는 ISA로 몇 년 주기로 돈을 굴린다음에 연금저축계좌로 이월시키는 방법이지만, (약간의 꼼수로 연 1800 한도보다 더 넣을 수 있습니다.)
사람의 일이라는게 언제 목돈이 들어갈지 모르니 ISA는 그냥 만기이후 해지하고 다시 가입하는 것도 일반적입니다.
결국 핵심은 비과세 + 저과세 혜택을 최대한 뽑아먹자입니다.
연금저축계좌 + IRP 월 700만원 / ISA로는 만기시 순이익 200만원 정도가 되겠네요.
근데 가장 핫한 미국주식 이야기가 없죠? 이건 2번에서 하겠습니다.
2. 미장 직투 우선순위
1번 상품 3종이 무조건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.
단점1
- 국내에 상장된 ETF만이 구매 가능하다. 따라서 미국 상품을 사고 싶으면 미국 추종 ETF를 구매할 수 밖에 없다.
그리고 이 단점은 아래의 단점과 다시 맞물립니다.
단점2
- 환율 변동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, 미국 증시가 오르더라도 오히려 내 ETF는 제자리 걸음을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.
그렇기 때문에 실망하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.
길게보면 KINDEX나 TIGER나 비슷한 그래프를 그리겠지만, 어쨌든 약간의 차이가 있는 건 사실입니다.
단점3
- 레버리지 상품등은 구매를 할 수 없다.
TQQQ나 SOXL과 같은 레버리지 상품 / 액티브 펀드 / 개별 주식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결국 미장 직투를 선택할 수밖에 없습니다.
그렇다면 가장 효율적으로 미장 직투를 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?
바로 양도소득세 22%를 피하는 범위 내에서 운용하는 것입니다. 물론 시드가 어마어마하게 크다면 양도소득세를 내더라도 이익을 따라가는게 맞지만, 시드가 작은 20대 30대 분들은 일단 저과세, 비과세가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.
양도소득세는 연 이익 250만원을 기준으로 발생하며, 차액의 22%를 부담하게 됩니다.
예를들어 2020년 테슬라 주식을 팔아, 1250만원의 이익을 얻었다고 칩시다.
그렇다면 1250만원에서 250만원을 공제한 이후에 남은 1,000만원의 22%, 즉 220만원을 양도소득세로 내야하는 것입니다.
당장 목돈이 필요한 게 아니라면, 그냥 테슬라 주식을 250만원치만 팔고, 얻은 250만원을 다시 미국 증시에 투자해 복리로 굴리는 방법이 가장 좋습니다.
요약하자면 미장 직투도 양도소득세 범위를 생각하면서 굴리는 것이 좋다는 것입니다.
물론 시드가 어마어마하게 크다면... 어쩔 수 없네요 ㅠ
3. 어쨌든 답은 비과세
결국 저는 IRP를 제외한 3가지 상품을 유동적으로 운용하고 있습니다.
연금저축계좌 | ISA | 미국 주식 |
월 34만원 | 여유되는 대로 | 여유되는 대로 |
연금저축계좌는 월 34만원을 넣어 S&P 500을 추종하는 ETF를 기계식 적립하고 있으며
그 다음 여유돈으로는 양도소득세 22%를 내지 않는 연 이익 250만원 선에서 미국 주식을 추가 구매하고 있습니다.
연금저축계좌나 ISA에서 구매 불가능한 반도체, 기술 ETF가 주 타겟입니다.
마지막으로 ISA는 다시 나스닥 100을 추종하는 ETF를 사고 있습니다.
연금저축계좌에서 S&P 500을 사 모으고 있기 때문에 ISA에서는 나스닥 100을 모으는데, 최근에 TIGER에서 반도체나 미국 TOP10 등을 출시하여 넣을까말까 고민 중입니다.
4. 요약
결국 복리의 마법을 믿으며 절세에 치중을 하고 있습니다.
이 방법이 맞는지 틀린지는 2050년쯤에 알 수 있겠네요. 길게길게 바라보고 뚜벅뚜벅 걸어가겠습니다.
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
3종 세트를 좀 더 알아보실 분들을 위해 마지막에도 링크 남겨 놓겠습니다.
개인연금저축, 연금저축계좌를 알아보자
개인연금저축 (연금저축계좌) 개인의 노후생활 보장 및 장래 생활안정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저축상품 1. 혜택 : 매년 납입액에 대한 세제 혜택 (세액 공제) 2. 조건 : 만 55세 이후 & 5년 이상 가입
dollarfactory1.tistory.com
IRP, 개인형 퇴직연금 과연 꼭 해야할까?
IRP 개인형 퇴직연금 드디어 절세 3종 세트의 마지막 IRP 네요. 연금저축계좌 IRP ISA 연금저축과 ISA는 이미 다루었으니 링크만 걸어두겠습니다. 오히려 IRP보다 더 중요한 상품들이니 꼭 읽으시는
dollarfactory1.tistory.com
ISA (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) 혜택 총정리
ISA (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) 하나의 계좌로 절세혜택을 누리며 다양한 금융상품을 살 수 있는 것 맞습니다. 또 절세 상품 소개입니다. 1. 혜택 : 비과세 + 저과세(9.9%) 2. 조건 : 소득에 따른 비과세
dollarfactory1.tistory.com
'국내주식의 모든 것 > 필수 비과세 상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중개형 ISA 미래에셋증권 개설 후기 (0) | 2021.04.12 |
---|---|
IRP, 개인형 퇴직연금 과연 꼭 해야할까? (0) | 2021.04.06 |
ISA (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) 혜택 총정리 (0) | 2021.04.05 |
연금저축계좌 개설 방법 및 종목 소개 (0) | 2021.04.05 |
개인연금저축, 연금저축계좌를 알아보자 (0) | 2021.04.03 |